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방부동산5

6.27 규제 한 달, 투자자는 이미 '학습효과'로 '버티기' 실행 중 6.27 부동산 규제 한 달, 효과는 있었을까? 정부는 6월 27일, 무려 12개의 규제를 한꺼번에 꺼냈습니다. 대출 총량 제한, 전입 의무, 생활안정자금 차단, 정책 대출 축소... 당장은 강력해 보였죠. 실제로 첫 주에는 심리가 움츠러들기도 했습니다. 수도권은? 수도권은 6.27 전후 상승률이 0.34% → 0.03%로 줄었습니다. 그러나 반짝 움찔이었을 뿐, 2~3주 차엔 바로 반등. 결론: 단기 억제는 있었지만, 추세 전환은 실패. 서울과 강남3구는? 여긴 아예 다릅니다. 이미 학습된 투자자들. 과거 규제를 기억합니다. 6.27 직후 -0.02% 하락도 잠시, 다시 상승으로 전환. 가격도, 호가도, 버티기로 일관 중입니다. 경기·인천은? 투자 루트 지역(분당·수지 등).. 2025. 7. 29.
부동산은 양극화로 흘러간다. 서울도 강남만 웃고, 지방은 눈물.. 심화되는 경매시장 양극화최근 부동산 경매시장 분위기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강남과 송파 같은 인기 지역에서는 낙찰가율이 급등하면서 활황을 보이고 있지만, 지방과 비인기 지역은 유찰이 속출하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모습이다.이번 글에서는 2025년 2월 경매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흐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정리해보았다.강남·송파 경매시장, 불붙었다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은 여전히 양극화가 두드러진다. 경매 진행건수는 **253건(전월 대비 10% 증가)**로 늘어났지만, 전체 낙찰률은 42.7%로 하락했다. 특히 선호도가 낮은 지역의 아파트는 외면받으면서 전체적인 평균을 끌어내렸다.하지.. 2025. 3. 10.
지방 건설경기 살리기, 정부 대책 이것만으로 충분할까? 저는 매일 지방 부동산 살리기 위한 정부의 정책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여기저기 곡소리가 나와야 양도세 및 취득세 감면 카드를 만지작 거리겠죠.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이제는 거의 바닥에 다 왔다고 생각이 드는데 여러분 생각은 어떠실지 모르겠습니다.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분양 시장을 보면, 지방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죠. 최근에는 대저건설, 신태양건설, 제일건설 같은 지방 대형 건설사들이 법정관리나 부도를 맞으며 건설업계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과연 이번 대책으로 지방 건설경기가 살아날 수 있다고 보시나요? 저는 도움이 하나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정부의 주요 대책 살펴.. 2025. 2. 28.
지방 미분양 아파트, 정부 대책 나온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방 미분양 아파트 문제와 정부의 대책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지방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으면서 건설사 연쇄 도산, 악성 미분양 증가 등의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정부가 이르면 다음 주 중으로 건설시장 안정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그렇다면 과연 이번 대책이 지방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지방 미분양 아파트, 얼마나 심각할까?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173가구로 집계됐어요. 이는 5개월 만에 다시 7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지방 건설 시장이 얼마나 침체됐는지를 보여줍니다.특히 "악성 미분양" 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2만 1,480가구.. 2025. 2. 15.
25년 지방 아파트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전개 될까? 안녕하세요. 리아 아빠입니다. 25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지 한번 알아볼까요? 저도 궁금합니다. 먼저, 지금 우리는 경제성장률 추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1%대 잠재 성장률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한국은행에서 발표했습니다. 경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이야기입니다. 25년 부동산 시장은 금리 정책과 주택 공급상황에 따라 흐름을 이어나갈텐데 , 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얼마 전에 한국 기준금리 동결했는데 향후 추가 금리 인하 여부에 따라 매수 심리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연 3%의 수준으로 동결된 기준금리가 만약에 하락세로 돌아선다면, 시장은 바닥을 찍고 올라갈 기미가 보이겠지요.하지만, 탄행의 정국, 환율의 변동, 아파트 고분양가 등 불확실한 요인이 발목을.. 2025.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