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년 지방 아파트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전개 될까?

by 네아이아빠이야기 2025. 1.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리아 아빠입니다.

 

25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지 한번 알아볼까요? 저도 궁금합니다.

 

먼저, 지금 우리는 경제성장률 추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1%대 잠재 성장률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한국은행에서 발표했습니다. 경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이야기입니다.

 

25년 부동산 시장은 금리 정책과 주택 공급상황에 따라 흐름을 이어나갈텐데 , 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얼마 전에 한국 기준금리 동결했는데 향후 추가 금리 인하 여부에 따라 매수 심리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연 3%의 수준으로 동결된 기준금리가 만약에 하락세로 돌아선다면, 시장은 바닥을 찍고 올라갈 기미가 보이겠지요.하지만, 탄행의 정국, 환율의 변동, 아파트 고분양가 등 불확실한 요인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지방 부동산은 지역마다 편차가 클거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감소, 미분양이 늘어나고 신규 분양성 사업도 크게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공급 부족과 전세난에 힘입어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를 밀어 올리는 형국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부도시) 반등의 시발점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짐작해봅니다. 제가 사는 도시도 공급이 확 줄었고 전세 씨가 말랐습니다.

 

25년 경제정책방향 지방 부동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크게 와닿는 내용은 없는 것 같습니다.

 

늘 투자는 서울(수도권)이라고 많이 들었습니다.

 

저는 지방에 살기 때문에 시야가 없는 관계로 서울권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이라면 저는 지역별 인구 유입 정책이나 경제 개발계획을 한번 알아보고 미래를 그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지방 부동산은 경기 부양을 위해서 종부세 완화 그리고 미분양 해소를 위한 방안 등 실질적인 완화 정책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도시별 장기발전계획을 자주 보는 편입니다. 시에서 이러한 노력을 하고 있고, 탈바꿈을 어떻게 하겠다 라고 청사진을 그려놓은 대표적인 자료입니다.

 

부산의 기장 2040 도시계획 자료입니다.

실제로 기장 일광 신도시를 가 본적이 있는데 큰 규모 택지는 아니지만 철도선이 있고 교통이 사방팔방 다 깔려있어 정말 편리합니다.

많은 인구를 흡수 했던 걸 보면 그만한 이유가 있어 보입니다. 여기서 확장성이 더 있을지는 의문이긴 하지만 , 그래도 이 정도면 대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늘 지방 부동산은 어렵습니다.

고민을 한다해서 내 뜻대로 절대 되지 않을 테지만 정부 정책의 변화를 봐가면서 흐름을 놓치지 않게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다음 기준금리 인하때 뵙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