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 인사이트

부동산은 양극화로 흘러간다.

by 네아이아빠이야기 2025. 3. 10.
반응형

 

서울도 강남만 웃고, 지방은 눈물.. 심화되는 경매시장 양극화

최근 부동산 경매시장 분위기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강남과 송파 같은 인기 지역에서는 낙찰가율이 급등하면서 활황을 보이고 있지만, 지방과 비인기 지역은 유찰이 속출하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모습이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2월 경매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흐름에 대한 인사이트를 정리해보았다.


강남·송파 경매시장, 불붙었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은 여전히 양극화가 두드러진다. 경매 진행건수는 **253건(전월 대비 10% 증가)**로 늘어났지만, 전체 낙찰률은 42.7%로 하락했다. 특히 선호도가 낮은 지역의 아파트는 외면받으면서 전체적인 평균을 끌어내렸다.

하지만 강남과 송파는 완전히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덕분에 잠실동 일대 아파트 경매는 뜨겁게 달아올랐다. 신축급 대단지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급등하면서 강세를 보였으며, 경쟁도 치열해졌다.
서울 전체 경매 응찰자 수는 평균 **8.9명(전월 7명 대비 증가)**으로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는 모습이 더욱 뚜렷해졌다.

즉, 강남과 송파는 투자자들이 몰리는 반면, 그 외 지역은 여전히 침체 분위기라는 것이다.


지방 경매시장, '반등 vs 추락' 온도차 심해

지방의 경우, 지역별로 경매시장 흐름이 극과 극으로 갈렸다.

반등한 지역

  • 경기권: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753건(전달 대비 43% 증가)
  • 낙찰률 51.8%(6.2%p 상승, 2022년 5월 이후 최고치)
  • 안성시에서는 임대주택 대량 낙찰이 이뤄지며 평균 낙찰률이 상승

침체가 지속된 지역

  • 인천: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7% 감소, 낙찰률 33.3%(-3.3%p 하락)
  • 부산: 낙찰가율 1.3%p 하락, 침체 분위기 지속
  • 강원도: 낙찰가율 4.5%p 급락, 지방 8개 도 중 최악의 성적

특히 인천 송도 대형 아파트 단지들이 유찰되면서 시장 분위기가 크게 위축되었다.
반면, 대구와 대전은 낙찰가율이 각각 6.0%p, 5.8%p 상승하며 반등세를 보였다.

지역별 시장 흐름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모습이다.


제주, 여전히 침체된 부동산 경매시장

제주는 최근 일부 지표가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반적인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제주에서 진행된 경매 건수 596건, 낙찰 124건(낙찰률 20.8%)
전국 평균(26%)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전월(17.4%) 대비 상승
낙찰가율 47.5%(전월 64%에서 급락) → 시장 위축 심화

다만 제주 아파트 낙찰가율은 반등했다.

  • 지난달 84.5% → 92.5%로 연속 상승
  • 다만 인기 매물에만 집중된 결과로, 전체적인 시장 회복세로 보기엔 어려움

가장 높은 낙찰가를 기록한 물건은 서귀포시 서귀동의 숙박시설(감정가 86억 원 → 55억 원에 낙찰).
가장 많은 응찰자가 몰린 경매 물건은 **서귀포시 동홍동 연립주택(총 13명 응찰)**이었으나, 감정가의 절반 수준인 1억 8,750만 원에 낙찰됐다.

제주 역시 특정 인기 매물은 경쟁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침체된 분위기다.


결론: '부동산 양극화'는 더 심해질 전망

현재 경매시장에서의 양극화는 단순한 시장 변동이 아니라, 부동산 시장 전체의 불안정성을 반영하는 모습이다.
서울 강남·송파 같은 특정 지역 → 투자 수요 집중 & 낙찰가율 상승
비인기 지역 & 지방 일부 → 매물 증가 & 유찰 반복

특히 신규 경매 물건이 늘어나면서, 선호도가 낮은 지역은 계속해서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부동산 경매시장에 관심이 있다면?

  • 강남·송파처럼 경쟁이 심한 지역리스크 관리 & 타이밍 전략이 중요
  • 지방은 낙찰률이 낮아 저가 매물이 많지만, 시장 침체 리스크 고려
  • 개별 물건의 특성 분석 & 실거주 vs 투자 목적을 명확히 하는 전략 필요

부동산 시장의 흐름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