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조용히 터졌다. 하지만 그 여파는 크다.
시장에선 이미 감지하고 있었다. 정부는 ‘서울을 더는 못 오르게 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6억 제한과 전세대출 규제, 그 첫 타깃은 ‘수도권 갭투자’
이번 규제는 명확했다.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 그리고 전세대출은 사실상 조건부 허용.
‘집은 사도, 전세는 놓지 마라’는 것이다.
결국 갭투자는 멈추게 된다. 아니, 의도적으로 멈추게 만든 거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다.
전세매물은 사라진다, 그리고 서울엔 입주도 없다
서울과 경기도는 올해 하반기, 그리고 내년에도 입주물량이 턱없이 부족하다.
그 상황에서 전세까지 막았다?
전세매물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 말은 결국, 전세가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다는 뜻이다.
신축 입주 시 전세 못 놓게 한다? 구조 자체가 무너진다
전세가 풀려야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 그게 정상적인 시장의 흐름이다.
하지만 입주 후 전세 자체를 막아버렸다. 이건 전세난을 의도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는 사이, 전세대출 한도도 1억으로 조였다.
이제 시장은 월세 중심으로 재편된다
전세를 놓을 수 없고, 세입자는 전세대출도 받을 수 없다.
그럼 집주인은 어떻게 할까?
월세로 돌린다. 그 외엔 선택지가 없다.
전세 → 월세 전환. 이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변화다.
무주택자는 주거비를 정면으로 맞는다
그동안 버텨온 건 전세였다. 하지만 전세가 사라지면, 그 빈자리는 월세가 채운다.
이제는 생존이 문제다. 월세 100만 원, 150만 원이 현실이 될 수 있다.
자산이 없는 사람일수록 더 힘들어진다. 양극화는 심해지고, 그 고통은 무주택자에게 돌아간다.
정부는 공급을 외친다. 하지만 이주비는 막는다
재개발·재건축의 핵심은 이주비다. 그런데 이주비 대출을 제한했다.
그럼 무슨 말일까?
공급은 하겠다. 하지만 민간은 하지 마라. 공공으로 하겠다는 의미다.
‘규제지역’ 단서가 남긴 여운
문서 끝에는 이런 문장이 있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중심’
지금은 아니더라도, 지방도 가격만 튀면 언제든지 묶일 수 있다는 의미다.
결론: 이 시장은 구조적으로 바뀌었다
- 서울은 조정되지만, 기회는 여전하다
- 서울 인접 경기도는 가격 홀딩 구간에 진입
- 부산·대구 등 지방 도시는 반사이익
- 전세는 줄고, 월세는 늘어난다
- 무주택자는 주거비 상승을 정면으로 맞는다
지금은 단순한 관망이 아니라 **생존전략이 필요한 시기다.**
여름방학이라고 여행부터 떠날 게 아니다.
이 시장, 이 구조, 이 변화.
주식이든, 비트코인이든, 부동산이든.
이제는 자기만의 해석과 전략이 없으면 흘려보낼 뿐인 시대다.
'부동산 투자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27 규제 한 달, 투자자는 이미 '학습효과'로 '버티기' 실행 중 (2) | 2025.07.29 |
|---|---|
| 울산 미분양 600호 감소, 다르게 생각해야될 부분 (2) | 2025.07.09 |
| 6.27 대출규제 정리 (0) | 2025.07.05 |
| “대출 받은 사람들, 이젠 2금융도 못 가는거야?” (2) | 2025.07.03 |
| 2025년 부동산, 지금은 상승장의 초입일까? (1)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