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방미분양2

지방 건설경기 살리기, 정부 대책 이것만으로 충분할까? 저는 매일 지방 부동산 살리기 위한 정부의 정책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여기저기 곡소리가 나와야 양도세 및 취득세 감면 카드를 만지작 거리겠죠.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이제는 거의 바닥에 다 왔다고 생각이 드는데 여러분 생각은 어떠실지 모르겠습니다.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분양 시장을 보면, 지방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죠. 최근에는 대저건설, 신태양건설, 제일건설 같은 지방 대형 건설사들이 법정관리나 부도를 맞으며 건설업계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과연 이번 대책으로 지방 건설경기가 살아날 수 있다고 보시나요? 저는 도움이 하나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정부의 주요 대책 살펴.. 2025. 2. 28.
지방 미분양 해소 위한 DSR 한시 완화, 효과 있을까? 2025년 02월 04일 오늘  여당에서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DSR 한시 완화 카드를 꺼냈습니다.내용은 읽어봤지만 크게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매일매일 정책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저희는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정부가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를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적 완화'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수요자는 대출 한도보다는 금리에 더 민감한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과연 이번 대책이 미분양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비수도권 미분양 문제, 얼마나 심각할까?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약 2만 1,000가구에 이릅니다. 이 중 1.. 2025. 2. 4.
반응형